기사 메일전송
“글로벌 증시, AI 투자 열풍에 제동… 아시아 시장도 거품 우려 확산” - – 전문가 “ROI뿐 아니라 시장변동성 리스크 관리가 핵심”
  • 기사등록 2025-11-06 13:05:37
기사수정

전 세계 증시가 인공지능(AI) 관련 종목 중심으로 조정을 받으며, AI 투자 거품(bubble) 우려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파이낸셜 타임스(Financial Times)와 가디언(The Guardian) 등 주요 외신은 최근 AI·반도체 중심의 과열된 투자심리가 글로벌 시장 전반에 부담을 주고 있다”고 전했다.

AI·반도체 주식 중심으로 급등 후 급락

특히 아시아 주요 증시에서는 AI 반도체 종목 중심으로 단기 조정세가 두드러졌다.
일본, 대만, 한국 등 주요 반도체 강국의 대표 AI 관련 기업들이 10~15% 수준의 주가 하락을 기록하면서,
AI 테마주의 고평가 논란이 다시 불붙고 있다.

전문가들은 “AI 투자가 장기 성장 산업임은 분명하지만, 현재 시장의 속도는 기술 성숙도보다 투자 기대감이 앞서 있는 상태”라며 “단기적 조정은 불가피하다”고 분석했다.

글로벌 시장 ‘AI 피로감’ 가시화

The Guardian은 “AI 산업에 대한 기대감이 기업 실적을 앞서가면서, 투자자 피로감(investor fatigue) 이 본격화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일부 투자자들은 실제 수익성이 아직 검증되지 않은 생성형 AI 스타트업과 클라우드 인프라 기업들의 높은 밸류에이션을 우려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글로벌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AI 기업의 매출 대비 주가비율(P/S)이 30배를 넘는 경우도 있어,
실제 비즈니스 모델이 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과도한 프리미엄이 형성되고 있다”고 경고했다.

AI 프로젝트 투자, ‘ROI + 리스크 관리’ 병행 필요

국내 한 전문가는 “AI 프로젝트를 추진할 때 단순한 ROI(투자수익률) 계산만으로는 불충분하다”며
“시장 변동성, 기술 확산 속도, 정부 규제 리스크 등 외부 요인을 포함한 종합적 리스크 분석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병원이나 공공기관의 PF(Project Financing) 형태 사업에서는,
AI를 적용한 디지털 전환 프로젝트의 경우 ‘실현 가능성(Feasibility)’과 ‘비용 회수 기간(Payback Period)’을 엄격히 검토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거품 아닌 조정의 시기… 냉정한 검증 필요”

일각에서는 이번 조정이 AI 시장의 거품 붕괴라기보다, “건전한 성장 곡선을 위한 필연적 조정 단계”로 평가하고 있다.
AI가 산업 전반의 패러다임을 바꿀 핵심 기술임에는 이견이 없지만,
현재와 같은 과열 투자는 향후 AI 산업의 신뢰성과 지속 가능성에 오히려 부담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AI 투자 시대의 2막은 ‘기술의 혁신’보다 ‘투자의 검증’이 주도하게 될 것”이라며
“이제는 흥분이 아니라 전략과 냉철한 분석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조언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5-11-06 13:05:37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AI ART더보기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불통 고창석 총장 학칙 개정 강행"…충북의대 학장단 반발
  •  기사 이미지 광양·포항시 농업기술센터, 고향사랑 1천만원 상호 기부
  •  기사 이미지 큐익스프레스, 6년째 '대한민국 대표브랜드' 물류 대상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